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징용 피해자 소송 문제와 관련해 "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을 준비가 돼 있다"며 대화를 통한 해결을 역설한 것에 대해 일본 정부 당국자는 한국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.
16일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익명의 일본 정부 고위 당국자는 문 대통령의 이번 연설 내용에 대해 "(한국 측이) 협의에 응한다는 자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일본에 양보를 강요하는 종래 입장에 변화는 없다"는 견해를 밝혔다.
일본 외무성 간부는 "대화가 중요한 것이라면 구체적인 해결에 이를 수 있는 안을 보여주길 바란다"고 언급하기도 했다.
요미우리는 또 문 대통령의 입장에 변화가 없다는 이유로 "위안부 문제 등에서 피해자 중심주의를 내세우는 문재인 정부와는 관계 개선의 실마리조차 찾을 수 없다"고 일본 외무성 간부가 말했다고 전했다.

일본 정부는 그간 징용 피해자에 대한 위자료 배상을 명령한 한국대법원의 2018년 최종 판결이 '청구권 문제는 완전하고도 최종적으로 해결됐다'는 문구가 포함된 1965년의 한일청구권협정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이 협정에 부합하는 해결책을 한국 정부가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.
그러면서 한국 원고 측이 배상 채권 확보를 위해 법원 허가를 얻어 피고 기업인 일본제철(옛 신일철주금)의 한국 내 자산을 현금화할 경우 보복 조치에 나서겠다고 경고해 왔다.
일본 정부가 검토 중인 보복 조치로는 관세 인상과 일본 금융기관에서의 한국 기업에 대한 대출·송금 중단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.
일본 정부가 징용 소송 문제로 보복을 강행하면 한국 정부도 맞대응에 나설 것이기 때문에 그런 상황까지 가게 된다면 한일 관계는 사실상 파탄 지경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게 된다.

문 대통령은 그 연장선에서 8·15 경축사 형식을 빌려 양국 간 대화를 거듭 강조했는데, 일본 정부 당국자는 대화를 위해선 '구체적 해결 방안'을 한국 측이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.
한일 양국 정부는 작년 12월 중국 청두(成都)에서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(安倍晋三) 총리가 1년 3개월 만의 정상회담을 열어 현안 해결을 위한 '솔직한 대화' 원칙에 합의한 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 영향 때문에 화상회의 등으로 당국 간 협의를 해 왔으나 지금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.
/연합뉴스
ⓒ 한경닷컴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August 16, 2020 at 06:44AM
https://ift.tt/3402EOZ
日 "징용소송 대화 중요하다면 한국이 구체적 해결안 제시해야" - 한국경제
https://ift.tt/2Auae7Y
No comments:
Post a Comment